안녕하세요, 자동차 애호가 여러분!
오늘은 현대 차량의 사이버보안에 대해 중요한 정보를 나누고자 합니다.
바로 미국 교통부 산하의 NHTSA가 제안한 현대 차량을 위한 사이버보안 모범 사례에 대한 이야기인데요,
이 글을 통해 우리 모두가 차량의 사이버보안에 대해 더 잘 이해하고, 안전한 자동차 생활을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.
제가 참조한 글은 아래와 같습니다. 자세히 살펴보실 분들은 들어가 보시길 추천드립니다!!
NHTSA Automotive Cybersecurity Best Practices: Modern Vehicles
The NHTSA’s goal is to leverage existing tools and technologies. The DOT HS 812 333 recommends using a layered approach to vehicle cybersecurity. Click for more
argus-sec.com

NHTSA의 자동차 사이버보안 모범 사례란?
NHTSA, 즉 미국 도로교통안전국은 현대 차량의 사이버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모범 사례를 제시했습니다.
이들의 목표는 자동차 산업에 대한 사이버보안 지식을 확대하고, 자동차 제조업체 및 설계자들에게 사이버보안에 대한 최고의 실천 방법을 제공하는 것입니다.
사이버보안의 중요성
우리가 사용하는 현대 차량들은 점점 더 많은 디지털 기능을 탑재하고 있습니다.
이는 편리함을 가져다주지만, 동시에 사이버 공격에 대한 취약점도 증가시키죠.
예를 들어, 차량 내부의 네트워크 시스템이 해킹당한다면, 운전자의 개인 정보 유출은 물론, 차량 제어 시스템까지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.
NHTSA의 4대 원칙
- 위험 기반의 우선순위 설정: 안전-중요 차량 제어 시스템과 개인 정보의 보호에 중점을 둡니다.
- 신속한 탐지와 대응: 사이버보안 사고가 발생했을 때 빠르게 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합니다.
- 사고 회복력 강화: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회복할 수 있는 방법과 조치를 마련합니다.
- 산업 전반의 정보 공유: 사이버보안에 대한 경험과 교훈을 업계 전체와 공유하여 빠른 적용을 도모합니다.
필수 사이버보안 조치
- 개발자/디버깅 접근 제한: 장치의 불필요한 접근을 제한합니다.
- 키 관리: 차량의 주요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키를 철저히 관리합니다.
- 펌웨어 보안 강화: 펌웨어의 무단 변경을 방지하고, 안전한 업데이트를 보장합니다.
- 네트워크 포트 및 프로토콜 관리: 불필요한 네트워크 포트와 프로토콜의 사용을 제한합니다.
- 차량 아키텍처의 분리 및 격리: 차량 내부 시스템 간의 격리를 통해 보안을 강화합니다.
사이버보안 교육 및 연구의 중요성
NHTSA는 SAE/Battelle Cyber Auto Challenge, NIST의 National Initiative for Cybersecurity Education 프로그램 등을 통해 사이버보안 교육과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.
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업계 종사자들은 최신 사이버보안 위협에 대응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.
애프터마켓 장치 및 서비스에 대한 지침
NHTSA는 튜닝용 부품 등 애프터마켓 장치와 서비스도 사이버보안 관행을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.
이는 제 3자가 제공하는 제품과 서비스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합니다.
결론
이렇게 NHTSA의 현대 차량을 위한 사이버보안 모범 사례를 살펴보았습니다.
자동차 산업이 디지털화되면서 사이버보안의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.
우리 모두가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더 안전한 자동차 생활을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.
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! 다음엔 더 재미있는 주제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.
'자동차 사이버보안 > 자동차 보안 플랫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동차 사이버보안: ISO/IEC 30111 취약점 처리 표준 이해하기 (4) | 2024.01.05 |
---|---|
스마트폰과 자동차 보안: TEE(Trusted Execution Environment) (0) | 2024.01.02 |
ISO 14229-1:2013 - 차량 진단 서비스(UDS)의 표준 (0) | 2023.12.30 |
UNR 155: 자동차 사이버 보안 준수를 위한 3대 필수 요소 (2) | 2023.12.29 |
EVITA 프로젝트: 자동차 산업의 사이버보안을 재정의 (0) | 2023.12.26 |